본문 바로가기

Nursing Information

"주사 부위가 너무 아파요", 일혈(extravastation)과 침윤(infiltration)에 대한 간호 중재

728x90

 

◆ "주사부위가 너무 아파요", 일혈(extravastation)이란?

일혈이란 정맥 경로를 통한 약물 투입 과정에서, 혈관 주위조직으로 약물이 새어나가는 것을 말하며, 일혈이 발생하면 주변 nerve, tendon, joint 까지 침범할 수 있고, 치료가 지연된다면 수술적 절제술, 피부이식등이 필요하거나 심한 경우 절단술을 시행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약물투약 시에는 일혈이 발생하지 않도록 꼭 주의해야 하며, 이상 반응이 있을 경우 즉시 알리도록 환자 교육을 실시하여, 빠른 처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출처: https://www.medicineslearningportal.org/2016/03/extravasation.html

 

 

일혈과 관련된 증상!

- 주사 부위 stinging, burning sensation, pain, redness, sudden swelling
- 정맥 주사 주입시 저항감 느껴짐
- 카테터를 regurge 했을 때 혈액 역류가 잘 되지 않음.
 
 

 

 

◆ 비슷하지만 조금 달라요, 침윤(infiltration) 이란?

 
일혈은 조직 주변에 수포제(Vesicant)약물을 포함한 약제와 수액이 투여된 것이라면, 침윤은 이러한 수포제 약물을 제외한
 
약물이나 수액이 조직주변으로 투여된 것을 의미합니다.
침윤 사진 _ 출처:https://go.bd.com/rs/565-YXD-236/images/MSS0008-2%20Complications%20of%20PIV%20Access.pdf
 
 
**수포제(vesicant)약물이란 무엇인가요?  A vesicant is a substance that has the ability to cause blistering or severe tissue
damage upon contact with the skin, eyes, or mucous membranes. ▶ 즉, 피부, 눈, 점막 등에 통증과 이물감을 유발하는 화학
물질/약물로 대표적인 예로 여러 종류의 항암제가 있습니다. 즉, 발생 시, 일혈이 침윤보다 더 손상범위가 넓고 합병증이 심각
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발생 가능한 합병증은요? 

일혈과 침윤으로 인한 합병증으로는 조직 손상 및 염증, 약물 독성, 신경손상, 및 정맥염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맥염 (phelbitis of the vein wall)이란?  정맥염이란 정맥벽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흔히 지속적인 정맥 주사, 정맥 밸브 손상, 정맥벽 자극 으로 인하여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정맥염은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 좋아지지만, 발열이나 붓기가 심한 경우에는 항생제 및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  일혈과 침윤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중재?

가장 좋은 것은 일혈이나 침윤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간호 수행 시, 일혈이나 침윤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요인을 사정하고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IV site 선택시에는 림프순환 문제가 있거나 유방절제술을 시행한 팔은 피해주세요. 이전에 방사선 치료를 받았던 곳
이나 주사/약물을 반복적으로 받았던 곳도 피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관절부위, 뼈 돌출부위, 손목 같은 주사부위는
피해주시고, 노인환자의 경우 말초혈관 질환이나 감각이 무딘 부위는 피하시고 피부 상태 사정시, 더욱 주의하여 주세요.
 
 
 

 

 

발생 시 간호중재 ?

1) 즉시 약물 주입을 멈추고, 일혈/침윤이 발생한 부위를 사정한다.

2) 담당 주치의에게 알리고, 

3) 일혈부위를 상승시키고,  Ice pack apply 진행

*일반적으로 ice pack apply 를 시행하지만, 약물 종류에 따라 hot pack 을 먼저 apply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병원 내에서 정해진 프로토콜 및 주치의 노티 후, 진행하도록 해주세요!

4) 약물 종류에 따라 aspiration 시행 및 antidote apply (주치의 컨펌하!!!!!!!)

5) 발생 상황 및 post 간호중재에 대해서 정확하고 자세한 간호기록 남기기

6) 발생 부위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과 환자 교육

(home care , self monitoring 및 ice pack or hot pack apply 는 1회당 15-20분 하루 4회 정도 진행하도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