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ursing Information

Pap smear? HPV test? 자궁경부암 선별검사에 대해 알아보자! (feat. 가다실9)

728x90

Q. HPV 가 대체 뭔가요?

인유두종 바이러스 Human papiloma virus는 사마귀를 일으키는 유두종 바이러스 군의 일종으로 피부와 점막에 접촉하면 감염되며, 사마귀를 유발한다. 위험도에 따라 저위험 유형(low-risk type)과 고위험 유형(high-risk type)으로 나뉘는데, 저위험 유형은 (ex HPV 6,11번) 곤지름 같은 생식기 사마귀를 유발하고, 고위험유형 (ex HPV 16번,18번) 은  자궁경부암, 질암, 외음부암 등의 생식기 암을 유발할 수 있다. 

 

Q.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은 뭔가요?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은 HPV infection 으로 인해 자궁경부 세포의 유전적 변이가 일어나게 되고, 악성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 자궁 경부암으로 이어지게 된다. 즉, 주요 원인은 HPV infection 이며 그중에서도 16,18번 같은 high risk HPV infection 이라고 할 수 있다. HPV DNA 검출은 자궁경부상피내병변(CIN)위험도를 10배 이상 증가시킨다. 특히 HPV 16번은 중증 CIN 의 90%를 차지한다. 

 

 

Q. 한번 감염되는 영원히 지속되는 건가요? 

 HPV 감염은 대부분의 여성에서 9~15개월 내에 자연적으로 사라진다.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감염되었다 하더라도 자신이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되었다는 사실을 모르고 지나가기도 한다. 그런데 이 감염이 몇 년간 지속되게 되면 생식기 병변 및 자궁경부암으로 진행 할 수 있다. 

 

Q. Pap 검사와 HPV 검사는 다른 건가요? 

많이들 헷갈려 하는 검사인데, HPV 검사는 말그대로 자궁경부에 HPV 감염이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는 검사이다. 없으면 negative (normal) 결과가 나오고 positive 면 어떤 HPV 가 감염되어 있는지 확인할수 있다. papnicolaou smear  는 흔히 우리가 pap smear 라고 부르는 검사이며, 자궁경부의 세포 변형이 있는지를 평가한다. 즉 이상세포가 발견되는지를 확인하는 검사이다. Pap smear 와 HPV 검사는 함께 시행하기도 하며, Pap smear 만 시행하는 경우도 있다.

Pap + HPV 검사가 모두 음성일 경우 - > 2년마다 f/u 권고
연속 3회 이상 검사가 정상일 경우 - >  2-3년 f/u 권고

 

 

 

Q. "HPV 는 positive 인데, Pap 은 정상이래요"

이 경우는 자궁경부에 HPV infection 이 있으나 자궁 경부 세포 변형은 없는 상태로, 주치의는 3-6개월의 short term f/u 를 권고할 것이다. 감염된 HPV 종류가 가장 중요한데 만약 16,18 type 양성인 경우 Pap 결과에 상관없이 질 확대경 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Q. 자궁 경부암 선별검사는 언제 받아야 하나요?

자궁경부암 선별 검사는 만 20세 이상의 성경험이 있는 모든 여성을 대상으로 하며, 성생활 시작 3년 이내 검사를 시작하기를 권고하고, 30세 미만일 경우 매년 f/u, 30세 이상일 경우 특별한 위험 인자가 없는 경우 2-3년의 간격으로 검사하기를 권고한다. 생리기간에는 검사를 피하는 것이 좋고, 생리가 끝나고 1주일 후 정도에 받는 것이 좋다. 우리나라에서는 20세 이상 여성에게 2년마다 자궁경부암 검진을 받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국민건강검진을 통해 무료로 검사받을 수 있다.

Q. 자궁 경부암 백신이 있나요?

흔히 말하는 자궁 경부암 백신은 자궁경부암 발생 원인인 HPV infection 을 예방하기 위한 백신이다. 각 예방가능한 HPV 종류에 따라 2,4,9가 백신으로 분류하는데 우리나라에서 가장 잘 알려진 가다실9 제품은 HPV 6,11,16,18,31,33,45,52,58형 관련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Q. 백신 접종은 언제 하는 것이 좋을까요? HPV 가 대체 뭔가요?

백신 접종의 이상적인 나이는 9-13세 이며, 26세까지도 권고된다. 9-13세는 2회만 접종하며, 그 외에는 총 3회에 걸쳐 접종하게 된다. 임신부에게는 접종을 권고하지 않으며, 원하는 경우 임신이 종료된 후 진행을 권고한다. 수유부의 경우는 접종이 가능하다. 

 

2023.07.03 - [Nursing Information] - "주사 부위가 너무 아파요", 일혈(extravastation)과 침윤(infiltration)에 대한 간호 중재

 

"주사 부위가 너무 아파요", 일혈(extravastation)과 침윤(infiltration)에 대한 간호 중재

◆ "주사부위가 너무 아파요", 일혈(extravastation)이란? 일혈이란 정맥 경로를 통한 약물 투입 과정에서, 혈관 주위조직으로 약물이 새어나가는 것을 말하며, 일혈이 발생하면 주변 nerve, tendon, joint

carpediem99.tistory.com

 

반응형